□ 최근 초등학생 납치 미수와 같은 아동대상 범죄가 연이어 발생해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, 서울시가 기존 초등학교 1~2학년에게 배포했던 ‘초등안심벨’을 내년부터는 전 학년, 약 36만명의 초등학생에게 지원한다고 밝혔다. 서울 초등학생 모두가 ‘안심벨’을 달고 등하교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.

□ 또 이상동기범죄 등 일상 속 불안으로부터 시민안전을 지켜주는 키링 ‘안심헬프미’는 올해 10만 개를, 혼자 일하면서 불안한 상황에 놓이기 쉬운 나홀로 사장님을 지켜주는 ‘안심경광등’은 올해 1만 개를, 각각 추가로 지원한다.

□ 서울시가 일상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상황과 불안으로부터 시민들을 지키기 위해 ▴아동(초등학생) ▴청소년‧일반시민 ▴1인 자영업자 등 대상별 맞춤형으로 ‘서울시 일상 안심사업’을 확대 운영한다고 밝혔다.

□ 최근 서울 서대문구, 경기 광명시, 제주 서귀포시 등에서 초등학생을 노린 유괴 시도가 연이어 발생하고, 지하철역이나 마트 같은 익숙한 장소에서 이상동기범죄가 계속되면서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. 이에 시는 각 대상별로 상황에 맞는 안심물품 지원을 통한 보호 체계를 보다 촘촘하게 가동한다는 계획이다.

○ 실제 13세 미만 아동을 상대로 한 강력 범죄는 2019년 1,514건에서 2023년 1,704건으로 13% 늘었다. 이 중 유괴는 같은 기간 138건에서 204건으로 48% 급증했다.

□ ‘서울시 일상 안심사업’은 ①내 아이 지키는 ‘초등안심벨’(아동) ②내 안전 지키는 ‘안심헬프미’(청소년‧일반시민) ③내 가게 지키는 ‘안심경광등’(1인 자영업자)으로 구성된다.

<내 아이 지키는 ‘초등안심벨’: 올해 5월 1~2학년 무상보급, 내년 全학년 확대>

□ 첫째, 지난 5월 서울시내 606개 전체 초등학교의 신청을 받아 1~2학년에게 무상 보급한 ‘초등안심벨’을 내년 전 학년(1~6학년)으로 전면 확대한다. 이렇게 되면 24만 7천 명이 추가로 지원을 받아 서울시내 모든 초등학생 총 36만 명의 등하굣길이 보다 안전해질 것으로 기대된다.

○ 서울시는 내년 전면 확대에 앞서 올해 서울시내 전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.

□ ‘초등안심벨’은 아이들이 위급상황시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돕는 안전장비로 키링처럼 책가방에 달고 다니다가 긴급상황시 뒷면의 검은색 버튼을 한 번 누르면 곧바로 100㏈ 이상의 날카로운 경고음이 계속 나오는 방식이다.

○ 기존 안심벨 경고음(90㏈ 이상)보다 큰 100㏈로 소리를 설정했는데, 반경 50~70m까지 들리는 자동차 경적 소리 수준으로 주변 어른들의 주의를 끌어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했다.

□ 현장의 만족도도 크다. 서울시가 학부모와 교사 등 6,3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, 전체 응답자의 82%가 ‘만족’한다고 응답했으며 아이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도 82%에 달했다. 일상 착용률도 85%로 높게 나타나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.

<안전지키는 ‘안심헬프미’: 올해 10만 개 추가 보급… 경고음과 함께 관제센터로 연결>

□ 둘째, 매번 신청 때마다 수분 내 마감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‘안심헬프미’는 지난해 5만 개를 보급한 데 이어서, 올해 하반기에 10만 개를 추가로 지원한다.

○ ‘안심헬프미’는 평상시엔 키링처럼 가방에 달고 다니다가 유사시 긴급신고 버튼을 누르면 경고음과 함께 해당지역 자치구 폐쇄회로(CC)TV 관제센터로 연결된다. 관제센터에서는 CCTV 확인 후 필요시 경찰 출동을 요청하는 등 즉각적인 대응을 펼친다. 또 안심헬프미로 긴급 신고를 하면 미리 지정한 보호자 최대 5명에게 문자메시지로 본인 현재 위치와 구조 요청 내용도 발송된다.

□ 특히 ‘안심헬프미’를 수령한 이후 두려움이 완화되었다는 응답은 90.1%로 나타나 ‘안심헬프미’를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일상안심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. ‘안심헬프미’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도 93.4%로 나타났다.

< 내 가게 지키는 ‘안심경광등’: 1인 자영업자, 버튼 누르면 경광등+사이렌, 신고접수>

□ 마지막으로, 나홀로 사장님의 안전을 지키는 ‘안심경광등’도 자영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.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선보인 이후 이틀만에 신청이 마감되는 등 사장님들의 큰 호응을 바탕으로 지원규모를 작년 5천 세트에서 올해 1만 세트로 두 배 늘렸다. 올해 5월 1차 신청에 이은 2차 신청이 11일(목) 오전 10시부터 진행된다.

○ 내 가게 지키는 ‘안심경광등’은 사장님이 휴대할 수 있는 ‘비상벨’, 점멸등과 사이렌 소리로 외부에 위기 상황을 알리는 ‘경광등’, 경찰 신고로 연결되는 ‘스마트허브’ 등으로 구성된 1인 점포용 안심 세트다.

○ 자영업자가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‘비상벨’을 누르면 가게 외부의 ‘경광등’이 점멸하면서 사이렌이 울린다. 동시에, 자치구 CCTV 관제센터에는 긴급신고가 접수되고 점포위치 및 인근 CCTV 등을 확인 후 센터 내 상주 경찰이 인근 순찰차 등에 출동을 요청하는 방식이다.

□ 지난해 7월 도입 이후 안심경광등을 통한 긴급신고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, 취객 난동이나 침입자 발생 같은 상황에서 안심경광등을 통해 경찰이 현장에 출동해 문제를 해결한 사례도 33건이 있었다.

○ 무엇보다도, 안심경광등 사용자의 94.1%가 설치 후 두려움이 완화되었다고 응답해 가게에 안심경광등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나홀로 사장님들의 일상안심에 큰 도움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.

<안심경광등 경찰출동 주요사례>

# 점포 앞에서 행인 2명이 행패부려 안심경광등 사용 경찰출동(’24.7.18. / 1인식당 운영 30대 남성)

# 매장 안에서 남성이 행패부려 경찰출동(’24.10.22. / 1인카페 운영 30대 여성)

# 취객이 욕설을 하며 행패부려 경찰출동(’25.2.20. / 1인식당 운영 60대 여성)

# 위협을 가하던 침입자가 경광등 소리에 즉시 도망, 이후 경찰이 신속히 출동하여 상황 정리(’25.7.1. / 1인미용실 운영 60대 여성)

□ 오세훈 서울시장은 “최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이은 범죄 기도가 크게 우려된다”라며 “서울시 경보시스템을 이용해 약자들이 자신을 스스로 지키는 것은 물론 주변에서 즉시 도움을 주어 피해를 예방할 수 있길 바란다”라고 말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