□ 서울시가 ‘캠퍼스타운’ 사업을, 올해 출범한 ‘RISE’(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)와 연계해 AI·바이오 등 첨단산업 창업의 지속 성장 체계로 강화한다. 창업팀 발굴부터 기술사업화·글로벌 진출까지 대학의 전주기 지원을 확대해 서울을 청년 창업의 글로벌 중심지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다.
□ 서울시는 대학·자치구와 함께 청년 창업가에게 공간과 멘토링 등을 제공하는 ‘캠퍼스타운 사업’을 ’26년부터 수행할 13개 대학을 선정했다고 18일(목) 밝혔다.
○ ‘서울 캠퍼스타운’은 시와 대학, 자치구가 대학이 가진 공간과 인재를 창업 기반으로 활용해, 창업팀 발굴․육성․사업화 등 전 주기에 걸쳐 창업기업을 지원하는 서울시 대표 창업 육성 사업이다. 지난 2017년부터 시작돼 현재까지 39개 대학 참여, 3,761개 스타트업 발굴, 1만 4,838개의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거뒀다.
○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캠퍼스타운 사업은 올해 출범한 RISE(Regional Innovation System & Education, 이하 라이즈)와 연계해 추진된다. 라이즈는 중앙정부의 대학 재정지원 권한을 지자체로 이양해 지역 특성과 발전 전략에 맞게 대학을 혁신하고 창업생태계를 강화하는 정책으로, 대학이 창업지원의 핵심 주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.
□ 앞서 시는 지난 6월 30일(월) 사업공고를 시작으로 약 2달간 공모를 진행했으며, 서울 소재 23개 대학 및 컨소시엄이 참여해 약 1.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.
□ 선정 대학은 2026년부터 기본 2년간 사업을 추진하며, 대학별 12억 원씩 총 156억 원의 사업비가 지원된다. 각 대학은 학교별 특화 분야 중심 세부 프로그램을 설계해 연간 50팀 이상의 창업기업을 발굴․육성할 예정이다.
○ 2년 차 중간평가 결과에 따라 성과 우수 대학(70%)에는 사업 기간 연장(최대 2년) 및 사업비 차등 지원 인센티브가 제공된다. 반면, 성과가 미흡한 대학(30%)은 3년 차부터 사업이 중단되고, 시에서 재공모를 실시한다.
□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단순히 창업 공간을 확충하는 단계를 넘어, AI·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을 스케일업(Scale-up) 하고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는 질적 성장 체계로 전환해 2030년까지 39개 이상의 ‘아기유니콘’ 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.
○ 그간 캠퍼스타운 사업은 창업 인프라 확충과 예비·초기 기업 발굴에 중점을 뒀다면, 라이즈 연계 이후에는 유망 창업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기업 자생력을 높이는 질적 성장 체계로 전환한다.
○ ‘아기유니콘’은 누적 투자실적 20억 원 이상, 기업가치 300~1,000억 원 규모의 잠재적 혁신 기업이다. 서울시는 기업이 성장 단계에서 더 많은 고용을 창출하고, 핵심 기술을 시장에 확산할 수 있도록 사업 전반의 파급 효과도 높일 예정이다.
□ 이를 위해 ▴첨단산업 스케일업(AI·바이오 등 앵커시설과 연계한 성과 고도화) ▴기술사업화 촉진(대학 보유 원천기술과 연구성과의 시장 진출 지원) ▴라이즈 과제 연계(사업 아이템 고도화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) 등을 중심으로 운영 체계를 정비한다.
○ 대학별로 25팀 이상은 AI 기반 기업으로 집중 발굴하며, 캠퍼스타운 졸업 이후에도 입주기업을 AI․바이오 등 서울시 첨단산업 앵커 시설과 연계해 후속 지원한다.
○ 대학 교수 및 대학(원)생의 기술 아이템을 적극 발굴해 창업 매칭하고, 실증테스트 공간 및 장비를 제공하는 등 대학 보유 원천기술 및 연구 성과의 기술사업화 지원을 강화한다.
○ 라이즈 사업 과제와 연계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필수 운영해 사업 아이템 고도화, 글로벌 진출 지원 등 한 단계 높은 창업 생태계 구축에 돌입한다.
□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“캠퍼스타운 사업을 서울시가 추진 중인 AI·바이오 등 첨단산업 혁신거점과 연계해 창업기업의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겠다”라며, “올해 출범한 라이즈 사업과 협력해 서울이 청년 창업과 혁신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도록 뒷받침하겠다”라고 밝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