□ 서울시는 PC, 모바일, 태블릿 등 어떤 기기로도 주택시장 정보를 쉽게 제공하는 ‘서울주택 정보마당(http://housinginfo.seoul.go.kr)’을 공개해 시민들의 주택거래 정보 접근성 개선에 나섰다.
□ ‘서울주택 정보마당’은 기존 ‘서울주거포털’의 전월세 정보는 물론 매매 시장, 정비사업 정보 등 다양한 주택시장 정보를 한곳에 모았다. 또한 정비사업 추진 단계별 현황, 입주 예정 물량, 매월 조사하는 주택시장(매매) 자료까지 담았다.
□ 특히 재개발·재건축·소규모정비사업의 추진 현황과 입주 예정 물량까지 투명하게 공개해 시민들의 알 권리를 강화했다.
□ 기존에 제공하던 전월세 정보는 편의성을 대폭 개선했다. 분기마다 공개되던 전세가율은 이제 지도 기반의 월별 자료로 제공돼 정보 확인이 훨씬 쉬워졌다.
○ ‘서울주택 정보마당’ 세부화면에서 사용자가 지도 위에서 정보를 알고 싶은 법정동 또는 자치구 지역을 최대 5개까지 클릭하면 지역별 전세가율, 전월세전환율을 지역·시계열별로 확인할 수 있다.
□ ‘전월세전환율 계산기’도 제공해 임차인의 권익과 임대차 계약 협상력을 높이고, ‘깜깜이 임대계약’을 막는다.
○ 전월세 주택을 구하는 임차인은 공인중개사, 임대인이 제시하는 지역 정보와 시세에 의존해야 해 정보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었다.
□ 전월세 예측 물량 시스템도 고도화했다. 신축 대단지 입주 영향을 반영하고, 공개주기를 반기에서 분기로 바꿔 이사 수요자들이 2개월 후의 물량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게 했다.
○ 지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곳의 향후 6개월 동안 전망되는 매월 전월세의 법정동·대단지 아파트(1천 세대 이상)·면적·건축 연한별 물량을 그래프와 표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.
□ 시는 이 정보가 전월세를 구할 때 당장 계약하지 않으면 더 이상 매물이 나오지 않을 것 같은 불안감에 원하는 조건에 다소 못 미치거나 가격이 부담되더라도 섣불리 계약하는 사례를 줄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
□ 한편, 서울시 내 461명 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한 주택시장 모니터링 조사 결과 정보로 기존 전월세 시장에 더해 매매 시장까지 영역을 넓혔다. 시민들은 서울시 내 자치구별 매매·전세·월세 시장의 가격 현황과 전망, 거래 수요 전망 조사 결과를 매월 확인할 수 있다.
□ 아울러 정비사업과 비정비사업을 모두 포함한 향후 2년간의 서울시 입주 예정 물량 정보를 반기별로 정기 점검·갱신해 제공한다. 이를 통해 시민들은 개발 현황뿐만 아니라 향후 공급 전망 규모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.
□ 이 중 서울시에서 진행되는 재개발·재건축·소규모정비사업 공급 물량은 추진 단계별로 공개된다. 구역 지정부터 착공까지의 확정된 사업 정보를 자치구·사업유형·추진단계별로 제공하며, 시민들에게 투명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.
○ 해당 정보는 서울시 재개발·재건축·소규모정비사업 추진부서 검증 자료로, 종전 ‘정비사업 정비몽땅’ 반기별 엑셀 공개분을 시민의 가독성을 높인 지도 기반 서비스로 제공된다.
□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“주택거래에 꼭 필요한 정보를 한데 모은 ‘서울주택 정보마당’을 통해 시민들이 주택시장 정보 부족으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고, 합리적인 계약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”라고 말했다.